
20200122 호기심 100으로 시작한 경기민요를 2년 배우다가 2017년 6월, 서도민요를 배우게 되었다. 어느 쪽도 '배웠다'거나 '할 줄 안다'라고 말하긴 애매한 실력이지만, 서도민요에 마음이 좀 더 기울게 된 것은 서도민요의 '낯섦'이 좋아서였던 것 같다. 가 보지 못한 서도(황해도, 평안도 지방), 이국적인 느낌, 솔직한 가사, 그리고 이런 얘기는 서도민요 배우는 분들이 들으면 언짢아할 수도 있는 표현이지만 내 귀엔 소수자(minority)의 느낌이 묻어났다. 이런 대중적이지 않은 듯한 느낌이 서도민요의 오리지널리티 중 하나라는 생각을 나는 하곤 한다. 처음 시작할 땐 2020년에도 여전히 내가 노래를 배우고 있을 거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. 배우거나 어쩌면 그만둘 수도 있는 긴 흐름을 두..
20191231 2019년의 마지막 날, 올해의 마지막 수업. 지금까지 배운 노래들을 정리해 보았다. 1. 수심가 : 매 수업 때마다 부르는 노래 중 하나. 조선시대 시인, 이옥봉을 알게 해 준 노래. 이옥봉의 시인 은 수심가의 노랫말 중 하나이기도 하다. 2. 해주아리랑 : 입모양과 발음 때문에 매우 많이 지적받은 노래. ‘얼쑤’ 발음이 ‘얼쓔’로, ‘아라리요’를 아라리오(우)’로 해서 발음 때문에 고생했던 노래. 3. 초한가 : 수심가와 함께 매 수업 때마다 부르는 노래. 첫 수업 때 생각했던 ‘만화 초한지라도 읽어야 하는데’ 하는 생각을 아직까지 실천하지 못하고 있음^^. 수심가와 함께 서도민요의 기본 같은 노래. 4. 몽금포 타령 : 초중고 중 어느 시기의 음악교과서에서 본 기억이 있다. ‘장산곶..
20190903 서도민요를 검색해 보면 평안도, 황해도 지방의 민요라고 나온다. 함경도는 빠져있다. 왜 함경도만 빠져있을까 궁금했으면서도 막연하게 서도민요는 북한 전역에서 불리던 노래일 것이라고 짐작하고 있었다. 어제 친구의 병문안에 온 독서모임 회원 중 하나가 내가 서도민요 배운다는 사실을 알고는 물어보았다. “서도민요는 어떤 노래예요?” 서도민요의 정의와 특성, 종류를 물어본 것은 아니었겠지만, 물어본 사람의 호기심만 겨우 면해준 듯한 내 대답이 썩 맘에 들지 않았다. 오늘 서도 선생님께 카톡으로 다시 물어보았다. 왜 서도민요에 함경도가 빠져있느냐는 나의 질문에 보내주신 서도 선생님의 답변 중 일부를 그대로 인용한다.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간명하게 정리해 주셨다. 지금까지 잘 모르고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보르헤스
- 아카바 유지
- 구몬영어
- 아저씨의 꿈
- 필사
- 서도민요
- 82년생 김지영
- GC클럽
- 주부학교
- 그림
- 댓글
- 초한가
- 일기
- 독서모임
- 입문코디교육
- 알바
- 노래
- 한의원
- 구몬쌤
- 0초사고
- 한의원에서 알하기
- 사서
- 도서관
- 가객
- 냉이주먹밥
- 학습지
- 수심가
- 한의원에서 일하기
- 도스토예프스키
- 엄마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